반응형
1. ‘웃어른’인가, ‘윗어른’인가
위와 아래의 대립이 있을 때만 ‘윗-’으로 쓰고 위와 아래의 대립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웃-'을 쓴다.
- 윗니, 윗눈썹, 윗도리, 윗목
- 위쪽, 위채, 위층 ※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ㅅ’을 적지 않음
- 웃돈, 웃어른, 웃옷(“맨 겉에 입는 옷”) ※ ‘윗옷’과 ‘웃옷’은 뜻이 다름
2. ‘하려고’인가, ‘할려고’인가
‘-ㄹ려고’가 아니라 ‘-려고’가 맞다. 쓸데없이 ‘ㄹ’을 덧붙이지 말아아 한다.
- 집에 (가려고, 갈려고) 한다.
3. ‘개다'인가 '개이다’인가
‘날씨가 개다’인가: ‘개다’가 맞다. 또 '설레이다'도 잘못된 단어이므로 '설레다'이다.
- 날씨가 개이다/개다
- 설레이는/설레는 마음
- 설렘/ 설레임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4. ‘등(等)’, ‘및’의 띄어쓰기
‘등(等)’은 항상 띄어 씀.
- 책상, 걸상 등이 있다.
- 이사장 및 이사들
※ ‘및’과 ‘와/과’의 차이: ‘와/과’는 앞말과 뒷말이 대등할 때 쓰이나, ‘및’은 앞말이 뒷말에 비해 중심이 될 때 쓰임. 즉 ‘A와 B’는 ‘B와 A’와 그 의미가 같으나 ‘A 및 B’는 ‘B 및 A’와 그 의미가 같지 않음. ‘및’은 셋 이상의 개체를 연결시킬 때 쓰는 것이 일반적임.
관련 글
반응형
'사회·문화 알기 > 우리말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14, '만', '만큼', '뿐', '씨', '데'의 띄어쓰기 (6) | 2023.05.15 |
---|---|
한글 맞춤법 13, '-어지다,-어하다', 숫자 등의 띄어쓰기, '안되다, 안 되다, 못되다, 못 되다'의 구분 (15) | 2023.04.19 |
한글 맞춤법 11, '다르다, 틀리다', '-장이, -쟁이', '왠지, 웬' (16) | 2023.04.13 |
한글 맞춤법 10, '깨끗이,깨끗히', '바람,바램', '삼가,삼가해', '빌다,빌리다' (14) | 2023.04.12 |
한글 맞춤법 9, '더우기,더욱이', '설겆이, 설거지', '만듦,만듬','며칠,몇일' (5)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