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알기/우리말 바로 알기

한글 맞춤법 2 '-던'과 '-든', '-데'와 '-대', '-ㄹ는지'와 'ㄹ런지'

코즈모코즈모 2023. 3. 24. 17:25
반응형

한글맞춤법-바로알기2
컬처클럽 한글 맞춤법 바로 알기 프로젝트

 

1. ‘-‘-의 '구분

'공부를 하든지 말든지 알아서 해라' 참 많이도 들었던 말이다. 가만 생각해 보면  '공부를 하던지 말던지'인가 고개를 갸웅뚱할 때도 있는데 사실은 '-든지'가 맞다.  ‘-은 과거의 뜻을 내포하고 있고,  ‘-은 선택의 뜻을 가진다. 예문을 살펴보면 너무나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너무나 단순하니 잊지 말길!

 

- 어제 집에 왔 사람이 진희 신랑감이래.

- 그 날 저녁 누가 왔던지 생각이 납니까?

- 얼마나 웃었던지 배가 아플 정도였어.

 

- () 사과() 마음대로 먹어라.

() () 알아서 하시오.

 

2. ‘-‘-의 구분

정말 많이들 혼동하는 것인데  ‘-는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는 남의 말을대신 전달할 때 쓰는 말이다.  ‘-ㄴ데 ‘-ㄴ대의 구별 방법은  앞말이 형용사이면 ‘-ㄴ데이고(동사 어간 뒤에는  없이 바로 ‘-가 붙음), 앞말이 동사이면 ‘-ㄴ대이다(‘-ㄴ다가 동사 어간 뒤에 붙는 경우 참조). 예를 들면 참신한데(형용사 참신하-’+‘-ㄴ데’), 결혼한대(동사 결혼하-’+‘-ㄴ대’)이다. 또 ‘--’ 뒤에는 만 올 수 있고 는 올 수 없다(‘-던다가 불가능하기 때문임). 따라서 ‘-던데란 말은 가능해도 ‘-던대란 말은 불가능하다.긴 설명 없이 예문을 접해보면 확실하게 이해가 될 것이다.

 

 

- 어제 보니까 동은이가 참 예쁘.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 ('예쁘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임)

- 그 아이가 밥을 잘 먹. / 정수수가 벌써 제대했. ('제대하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임)

-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 (이다’는 명사 뒤에 붙어 서술어로 만들어주는 서술결격조사임) : 뜻은  “-더라"

- 신부가 그렇게 예쁘

- 그 사람 키가 크?

- 밖에 누가 왔? / 얼마나 되? : 뜻은  “-던가?”

 

- 사람들이 그러는데 진옥이가 예쁘(예뻤대/예쁘겠대). (형용사)  : “-() 가 줄어 된 말임을 알 수 있음.

- 준우가 결혼한대(결혼했대/결혼하겠대). / 준우는 추리소설만 읽는대(었대/겠대).(동사)

- 상현이가 학생회장이래(학생회장이었대). (서술격조사 이다) : 이다뒤에서는 ‘-‘-로 바뀜.

 

그 밖에도 ‘-ㄴ데’는 스스로 감탄하는 투로 넌지시 상대방의 반응을 묻기도 할 때 쓰임

 

- 오늘 날씨 참 시원한데. / 오늘은 기분이 참 좋은데. (형용사)

- 신랑과 신부가 주 잘 어울리는데. (동사),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도 가능

진우가 아니라 상민이가 학생회장인데. (서술격조사 이다’)

 

- 결혼식장에는 동은이 신랑도 왔던데(‘-았더-’‘-ㄴ데’).

- 동은이 부모님은 벌써 오셨는데((‘-았느-’‘-ㄴ데’).

- 결혼식장에는 동은이 신랑도 왔겠는데(‘-겠느-’‘-ㄴ데’).

 

3. ‘-ㄹ는지’인가, ‘-ㄹ런지인가

이것도 막상 글을 쓰려다 보면 "뭐지?" 할 때가 있는 말들이다. 결론은 ‘-ㄹ는지’가 맞다. 이유는 그게 적절한 표기이니깐!

 

-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생각할런지} 모르겠어.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어.” 형식이 더 자연스러운 국어 문장이다.)

- 우리의 제안을 받기로 결정했는지 모르겠어.

 

한글 바로 알기 프로젝트

 

이전 글

한글 맞춤법 1 '되어'와 '돼', '안'과 '않', '할게'와 '할께' 구분 등

한글이 어렵다구요? 한글 맞춤법 바로 알기 프로젝트 시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