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문화 알기/지금 우리는93 대중문화의 겉과속 2-4 왜 PD는 쓸개가 없어야 성공할 수 있나 스타 파워 논쟁은 영화계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텔레비전에서도 똑같이 벌어졌다. 텔레비전 드라마 출연료로 수억원을 제시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벤트 업계도 스타 파워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한류 때문에 못 해먹겠다는 말까지 나왔다. 하루 행사 출연료로 10억원을 요구하는 한류 스타가 있는가 하면, 한 시간짜리 팬 미팅을 하는 데에 출연료가 2억에서 3억 원 수준이라는 것이다. 한류가 스타들을 버려놓는다는 말도 나왔다. 당연히 스타 파워 때문에 방송연예게의 기존 권력관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백성호는 “드라마 PD의 전성시대가 있었다. 대부분의 연기자들에게 드라마 PD는 거의 절대적인 존재였다.다음 작품에 또 얼굴을 내밀려면 PD의 눈도장을 받아야 했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요즘도 그럴까. 천.. 2023. 2. 24. 대중문화의 겉과 속 2-3 한국 영화는 스타만 배불리는가 영화 제작자이자 감독인 강우석은 ‘스타들 돈 너무 밝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그 발언과 함께 거론된 배우 최민식과 송강호는 반박 기자회견을 열고 강우석 감독의 사과를 요구하였다. 최민식은 “얼마 전, 사인을 요청하던 학생 중 한 명으로부터 ‘돈 너무 밝히지 마세요’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고, 송강호 역시 “관객들 눈에나 연기가 보이겠나? 입장료 중 송강호 몫은 얼마가 될까? 이런 생각할 것 아니냐”고 울분을 토했다. 그는 “항상 출연할 때마 유작이라는 생각으로 온몸이 부서져라 연기해왔다”면서 “내 개런티는 응분의 대가”라고 말했다. 영화평론가 김영진은 영화관이 스타에 휘둘리는 악순환 고리의 맨 위에는 극장 체인을 소유한 대기업 자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자기 회사의 극장 체인에 걸 상품성 있는 .. 2023. 2. 24. 대중문화의 겉과속 2-2 스타 숭배는 종교적 현상인가 “각 스타의 발밑에 하나의 예배당, 즉 하나의 클럽이 자연스럽게 설립된다. 아메리카에서는 각각의 교회가 대성지인 할리우드 정기적으로 순례한다. 영화제란, 스타가 친히 자신의 개선식에 강림하는 신의 대축제다. 그때에는 열정이 열광으로 숭배는 광희로 바뀔 수 있다. 잡지, 사진, 클럽, 순례, 의식, 영화제, 이것들은 스타 숭배의 기본적인 제도다. 어떤 이는 똑같은 영화를 130번 보았다고 단언하고 있다. 스타에 대한 찬사이며, 환희이며, 활활이며, 신앙 고백이다.” 만약 스타가 “인간의 형태를 한 신”이 되었다면 그렇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스타의 탄생은 표준화와 획일화가 급속히 이루어진 대중 사회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개성을 잃어버릴 위기에 처한 대중이 취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 2023. 2. 24. 대중문화의겉과속2-1 왜 스타는 연예 산업의 보험증서가 되었는가 스타는 하늘에서 반짝이는 별처럼 보통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다. 우리는 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면서 나름대로 즐거거나 동경의 대상으로 삼을 수는 있어도 별을 만지거나 가실 수는 없다. 대중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유명한 연예인은 하늘에 떠 있는 별과 같다. 대중의 뜨거운 사랑을 받는 연예인들을 일컬어 스타라고 부르는 건, 아마도 그들을 멀리서 바라보기만 해야하는 대중의 운명을 말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영화사는 스타의 이름이 돈을 버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영화 산업은 도박과 비슷했다. 영화가 성공하면 큰돈을 벌지만 실패하면 큰 손해를 봐야 했다. 영화 제작자들은 자신들이 만드는 영화가 성공할 것인지 실패할 것인지 예측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그들은 곧, 스타를 출연시키면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2023. 2. 24. 대중문화의 겉과 속 1-5 왜 코카콜라 그림 한 장이 390억 원에 팔렸을까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 앤디 워홀의 흑백 그림 ”코카콜라“가 2010년 11월 9일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약 390390억 원에 판매되었다고 소더비 경매 측이 밝혔다.” 아니 어떻게 해서 코카콜라 병을 그린 그림 한 장이 390억 원이나 한단 말인가?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팝아트에 대해 조금의 지식이 필요하다. 기존의 고급문화 영역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긍정적 방응이 가장 잘 나타난 경우라고 볼 수 있는 팝아트의 표현법에는 유화, 조극, 콜라주, 판화 등 시각예술의 여러 작업들이 포함된다. 팝아트는 현실 자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그래픽 디자인이나 대중매체 가운데에서 발견되는 가공된 현실을 음미의 대상으로 삼을 따름이다. 따라서 거기에서는 광고, 디자인, 회화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이는 현대 도시.. 2023. 2. 24. 대중문화의 겉과속 1-4 왜 부르디외는 취향은 계급이라고 하나 우리는 대중문화에 대한 태도에서도 자신의 문화적 자본을 과시하기 위한 구별짓기 현상을 얼마든지 목격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를 말할 때에도 특정 스타보다는 감독 때문이라고 말하거나 너무 대중적인 스타보다는 덜 알려진 연기자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게 훨씬 지적이고 고급스럽게 보인다. 이와 관련, 폴 맥도날드 Poul McDonald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떤 사람들이 유럽의 예술 영화에 나오는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 예컨대 장 피에르 레오를 좋아한다고 말한다며, 그들은 암암리에 자신들을 대중적인 배우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내 취향은 당신의 취향에 비해 고급스러운 것이다’라고 넌지시 말하는 것이다. .......... 실베스터 스텔론이나 아놀드 슈웨제.. 2023. 2. 24.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