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문화 알기/지금 우리는93

'한류韓流'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한류의 10가지 비밀 1997년 중국에서 처음 '한류韓流'란 말을 쓴 이래로 25년이 지난 지금 한류의 성장은 그야말로 경이로울 따름이다. 드라마로 시작한 한류는 k팜으로, 게임으로, 뷰티로, 음식으로, 패션 이어졌고 이제는 대중문화 전반에서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여 전 세계를 휘감고 있다. 지난 포스팅에선 한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통계자료를 인용하며 알아보았다. 한류는 가깝게는 동남아에서 유럽, 남미까지 그 위상을 뽐내고 있다. 한류는 대중문화 종사자들 뿐만 아니라 학자들도 바쁘게 만들었다. 사회, 경제, 문화학을 공부한 학자들은 저마다 논문을 발표하며 한류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류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지대하다. 한류를 둘러싼 학자들의 .. 2023. 3. 7.
통계로 보는 한류의 경제적 효과 한류가 우리나라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전종근,김승연 공동연구 2019)에 따르면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과 소비재 및 관광 수출 규모는 총 123억 1,9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상품 수출의 2.3%에 이른다. 2019년 한류로 인한 수출 증가는 산업연관관계를 통해 25조 6,829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11조 5,819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17만 4,263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난다. 한류로 인한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우리나라 GDP의 0.6%, 한류로 인한 취업유발효과는 전체 취업 자 수의 0.64%를 차지하는 것이다. 한류가 우리나라의 수출, GDP, 일자리 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지 .. 2023. 3. 6.
비빔밥 정신과 컨버전스(convergence) 비빔밥은 동사'비비다'의 '비빔'과 '밥'의 단조로운 합성어로 말 그대로 여러 가지 반찬과 밥을 넣고 비벼 먹는 대표적인 한국 요리다. 비빔밥은 남는 반찬과 차갑던, 따뜻하건 간에 밥 한 공기, 장 한 종지, 참기름 정도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요리이며 또 양을 많이 하여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은 일상 요리이다. 한자어로는 한자어로는 골동반(骨董飯)이라고 한다.이라고 한다. 비빔밥에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의미가 있다. 화합은 하지만 쉽게 같이 붙어 다니진 않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과 생각을 같이하지는 않지만 화목하게 지낼 수 있는 포용력이 비빔밥에 담긴 정신이 아닐까 한다. 화이부동의 화는 나와 다른 것을 존중하고 공존하는 원리이고, 동은 흡수해서 자기 것으로 만드는 원리라 할 수 있겠다. .. 2023. 3. 5.
간접광고(PPL)가 드라마를 바꾼다. PPL의 막대한 힘 간접광고는 영화, TV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의 콘텐츠 속에 특정 기업의 제품을 소품이나 배경으로 자연스럽게 등장시켜 소비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자사 제품을 홍보하는 것을 뜻한다. 영어로는 Product Placement라 불리며 PPL은 한국식 영어로 Product PLacement의 준말로 Product Placement는 원래 영화 제작 시 소품 담당자가 영화에 사용할 소품들을 배치하는 업무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간접광고'의 의미로 쓰인다. 2010년 합법화된 후 지상파 간접광고 시장은 5년간 10배로 성장했다. 주문형 비디오(VOD)와 인터넷 TV(IPTV)등을 통해 프로그램 광고를 건너뛰는 사람들이 늘면서 간접광고는 제작비 충당을 위한 필수요소로 떠올랐다. 간접광고는 방송사뿐 만 아니라 외.. 2023. 3. 4.
'스토리 텔링(Storytelling)'의 힘, 이야기가 중요해 대중은 특정 정당이나 특정 정치인을 지지할 때 '좋다', '싫다'의 문제로 접근한다. 그 좋고 싫고의 문제는 주로 특정 정치인의 스토리에 의존한다. 사람들은 그 정치인의 스토리를 좋고 싫고 판단 기준으로 삼기에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어떻게 내 삶을 강렬하게 전달할까 스토리 마케팅에 몰두한다. 유력 정치인이 당선되는 이유는 그가 살아온 과정에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Story와 Telling을 합친 단어로 현대에 이르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문장들(다이얼로그)이라는 정보의 전달 도구를 의사소통의 상황에서 보다 '문화와 교양'적인 측면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잘 수용하는 공감적 능력으로 다루는데 포커스를 둘 수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문화적 .. 2023. 3. 4.
인디(Indie) 음악, 다시 들려오길 바라며 1990년대 홍대에는 헤비메탈이 아닌 펑크와 얼터너티브를 연주하는 밴드가 등장한다. 그들이 공연하는 클럽은 아주 소규모였지만 새로운 음악을 갈망하는 X세대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Indie라는 단어는 'Independent'에서 유래된 것이다. '독립' 얼마나 매력적인 단어인가. 주류에서 벗어나겠다는 용기와 도전이 떠오르며 '진보'라는 단어까지 포함할 수도 있겠다. 금요일 홍대의 열기, 답답한 현실에서 벗어난 해방감, 비주류, 실험적 정신, 알지 못하는 세계의 도전, 서투르지만 진지한 사고 등을 담은 인디음악은 이때부터 한국 음악계의 한 축으로 자리하기 시작한다. 한편으로 '대기업'의 일관된 문화적 통제로부터의 독립을 의미하기도 한다. 제작자의 자본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돈으로.. 2023.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