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문화 알기/지금 우리는93 유튜브(YouTube)는 이제 검색엔진, 세상을 바꾸다. 포털에 유튜브 검색어를 넣으면 "YouTube에서 마음에 드는 동영상과 음악을 감상하고, 직접 만든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친구, 가족뿐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하는 문구가 나온다. 주목할 만한 것은 '직접 만든 콘텐츠'라는 말과 '전 세계 사람들'이란 말이다. 얼마나 매력적인가 내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내 콘텐츠를 전 세계 사람들이 클릭하여 본다. 글을 쓰고 남들과 소통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문구를 읽는 순간 가슴이 두근두근함을 경험할 것이다. 거기에 더해 조회수에 따라 수익까지 낼 수 있다니! YouTube라는 명칭은 사용자 'You''와 미국에서 텔레비전의 별칭인 'Tube -과거 텔레비전이 브라운관tube를 사용했기 때문에 유래됨'를 더한 것이다. 창업자.. 2023. 3. 3. 웹툰에 빠져드는 우리, OTT 드라마로 보는 웹툰 학창 시절 늘 만화를 끼고 자랐던 대학생 김 모(25)씨는 부모님으로부터 혼나기 일쑤였다 장래 희망을 쓰는 칸에는 만화가라고 적었지만 당시 담임교사는‘만화가 밥벌이냐’라며 나무랐다. 그는 결국 지방의 전문대에 진학하여 만화와 관련없는 그런 삶을 살았다. 그러다가 2012년부터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인터넷 만화 웹툰web+cartoon이 인기를 끌면서 잊고 지냈던 꿈을 다시 꺼내 들었다.. 그는 과거에 만화가를 한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사람들이 많았는데 요즘에는 웹툰 작가가가 꿈이라면 대단하다는 반응이 돌아온다고 말했다. 실로 웹web 파워가 대단하다. 만화라는 세간의 인식까지 바꾸어 놓았으니 말이다. 만화가 인터넷으로 유입되며 유통방식이 바뀌었다. 소비하는 공간이 바뀜으로 애써 접촉의 기회가 쉽지 않았.. 2023. 3. 3. 'X세대'의 몰락 아니면 부활? 'MZ세대'야 함께 하자. X세대는 1970년대에 태어나 1990년대에 20대를 보낸 연령층을 칭하는 말이다. 원래 세대를 구분하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범위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여러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벌어지는 현상이다. X세대를 정의함에 있어 1970년대 초반 태어난 이들로 한정했지만 1970년대생 전체로, 2020년 이후에는 40대로 접어든 1980년대생까지 포함시켰다. 마치 MZ세대의 연령대가 확대되는 것처럼 X세대는 과거보다 지금이 훨씬 더 많다. 물론 다음 세대에게 경제적, 사회적 이슈들을 모두 다 빼앗겨버렸지만 말이다. 캐나다 소설가 더글라스 코틀랜드의 책 『X세대(Generation X, 1991)에서 따온 말로 베이비 붐 세대의 자녀들로 부모의 맞벌이와 이혼을 경험하며 자랐.. 2023. 3. 2. 'MZ세대'세요? MZ세대는 도대체 누구? 디지털 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한 MZ세대(2018년 현재 24~39세, 1980~95년생)가 소비 등 경제활동의 주력으로 부상함에 따라 이전 세대와 다른 동 세대의 독특한 삶의 방식 및 소비행태 변화 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MZ세대는 디지털 시대에 맞는 사고와 행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지배하고 있다. 그들이 만들어 낸 각 분야의 독특한 방식은 가히 엄청난 파급력을 지니고 있어 사회적, 경제적으로 심층적인 세대 특성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에는 X세대 및 M세대가 각각 전체 인구 중 26.2%, 22.0%를 기록하여 전체 5개 세대 중1, 2위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BB이전 세대(18.7%), Z세대(16.7%), BB세대(16.4%) 순으로 큰 비중.. 2023. 2. 28.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저작권 이야기 우리는 지금 정보의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변신 중입니다. 아니 우리는 이미 수많은 정보를 만들어내고 있는 정보의 해비한생산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인스타, 블로그, 유튜브 등을 통해 우리는 엄청난 글과 사진, 영상 등을 쏱아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저작권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먼저 꼭 알아야 할 저작권에 관한 이야기들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앞으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건전한 네티즌 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공유할까 합니다. 저작권이란 시, 소설, 음악, 미술, 영화, 연극, 컴퓨터프로그램 등과 같은 ‘저작물’에 대하여 창작자가 가지는 권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소설가가 소설작품을 창작한 경우에 그는 원고 그대로 출판·배포할 수 있는 복제·배포권과 함께 그 소설을 .. 2023. 2. 27. 대중문화의 겉과속 4-4 왜 텔레비전 자막이 홍수 사태인가 언제부턴가 ‘자막 공해’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했다.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자막이 공해 수준이라는 것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방송위원회 산하 방송언어특별위원회는 이미 텔레비전 3사의 자막 남발이 공해 주준이라고 진단하고 시정을 권고했지만 자막 공해는 더욱 심해졌다. 이에 ‘경향신문’은 “자막 공해는 잘못된 시청률 지상주의에서 비롯됐다. 시청자의 눈길을 잡아두려면 화면에 끊임없이 악센트를 줘야 한다는 제작진의 각박관념이 자막 남발로 나타난 것이다. 실제 시청률 압박을 많이 받는 프로듀서일수록 자막 의존도 높다는 한 프로듀서의 논문도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한때 공해 취급을 받았던 자막은 이제 프로그램을 죽이고 살리는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았다. 과거 출연자들의 말을 그대로 옮기는 수준의 받아쓰.. 2023. 2. 2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