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알기/지금 우리는

'한류韓流'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한류의 10가지 비밀

by 코즈모코즈모 2023. 3. 7.
반응형

             

다재다능한 한국인의 문화적 역량

1997년 중국에서 처음 '한류韓流'란 말을 쓴 이래로 25년이 지난 지금 한류의 성장은 그야말로 경이로울 따름이다. 드라마로 시작한 한류는 k팜으로, 게임으로, 뷰티로, 음식으로, 패션 이어졌고 이제는 대중문화 전반에서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여 전 세계를 휘감고 있다. 지난 포스팅에선 한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통계자료를 인용하며 알아보았다. 한류는 가깝게는 동남아에서 유럽, 남미까지 그 위상을 뽐내고 있다.

 

국가별 한류 문화 이용 확산 분포,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연구, 2019

 

한류는 대중문화 종사자들 뿐만 아니라 학자들도 바쁘게 만들었다. 사회, 경제, 문화학을 공부한 학자들은 저마다 논문을 발표하며 한류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류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지대하다. 한류를 둘러싼 학자들의 논쟁은 복잡해 보이지만 거시적, 중시적, 미시적 시각으로 한류를 만든 요인을 10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강준만의 '대중문학의 겉과 속'을 참고하여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를 인용해 볼까 한다.

반응형

1. 근대화 중간 단계의 이점이다. 한류를 거시적 관점에서 평가한 백원담은 "일본에서의 한류는 세련된 향수의 소비다. 홍콩과 대만을 제외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의 한류는 가까운 미래에 대한 선험이다.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한국과 한류는 미국이나 일본처럼 요원한 미래가 아니라 손에 잡힐 듯 다가갈 수 있고 이룰 수 있는 희망으로 부유한다. 그러나 일본에서의 한류는 문화적 주변으로 밀려난 사람들이 일본 사회라는 폐쇄회로 속에서 뒤돌아보고 싶은 과거의 재현 욕망을 충족하는 기제다."라고 주장했다

-백원담, 한류의 방향타를 잡아라, 한겨레21,2004

 

2. 한국인의 잠재된 거시 문화적 역량이다. 시인 김지하는 "오늘 제가 류승범 주연의 <주먹이 운다>를 보면서 다섯 번이나 울었습니다. 한이 많은 우리 민족이 흥을 발휘할 때 그것이 한류를 일으킨다고 봐요. 인간 깊숙이 자리한 한을 흥으로 끌어올려 눈물을 나게 하는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라고 역설했다.

-김지하, 동아시아 생명, 평화의 길 "붉은 악마에게 달렸다, 고대 대학원 신문, 2005

 

3. 한국인의 감정 발산 기질이다. 정해승은 "혹자는 한국인 특유의 '한' 문화에서 찾지만, 내 생각은 좀 다르다. 필자는 한국인 특유의 기질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한국의 노래방 문화는 '발산의 문화'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모습니다.

-정해승, 엔터테인먼트 경제학, 휴먼비즈니스, 2006

 

4. 키치의 제국으로서의 혼성화 또는 융합 능력이다. 류웅재는 "한류는 온전히 한국적인 콘텐츠로만 채워진 것은 아니며, 지역과 수용자의 취향에 맞게 글로벌하고 동시에 지역적인 요소를 배합하고 뒤섞은 이중교배 음식으로 비유하자면 짬뽕 혹은 가든 샐러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을 이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류웅재 , 한류에 대한 오해, 경향신문, 2007

 

5. 다섯째, 내부 시장의 한계로 인한 해외 진출 욕구다. 신현준은 한류의 태동이 1997년 말에 한국을 강타한 이른바 IMF 환란 직후라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경제 위기로 구조적 침체에 빠진 한국 음악 산업은 디지털화와 아시아화라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한류를 생존의 자구책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신현준, K팝의 문화정치, 언론과 사회, 2005

 

6. 한국인의 강한 성취 욕구다. 김현미는 한류 현상을 아시아 지역의 '욕망의 동시성'이란 개념으로 분석했다. 한류는 한국 대중문화의 질적인 우수성이나 문화적 고유성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기보다는 급격한 산업자본주의적 발전을 겪은 아시아 사회 내부의 다양한 가등들을 가장 세속적인 자본주의적 물적 욕망으로 포장해 내는 한국 대중문화의 능력 덕분에 생긴 것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김현미, 욕망의 동시성, 한겨레21,2001

 

7. 강한 성취 욕구로 인한 치열한 경쟁이다. 대중가요를 비롯한 다른 대중문화 장르들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늘 사회적 비판에 직면하곤 했지만 바로 그런 경쟁이 한국 대중문화의 수준을 높여준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8. 인적 자원의 우수성이다. 한류 기업가와 연예인 모두 치열한 경쟁을 뚫고 그 자리에 선 사람들임을 잊어선 안된다. 타고난 우수성도 있다. 외국 한류 팬들이 한결같이 감탄하며 지적하는 건 한국 연예인들의 뛰어난 외모 자본이다. 

 

9. 군사주의적 스파트라 훈련이다. 한국 아이돌 가수들의 스파르타 훈련은 다른 나라에선 감히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강도가 세다. 인권 문제가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그 모델은 태릉선수촌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이는 적어도 금메달을 사랑하는 국민들의 암묵적 지지를 받고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10. IT 강국의 시너지 효과다. 김상배는 한류의 성공은 "문화와 IT가 복합된 CT(문화기술) 분야에서 한국이 보유한 지식 역량이 바탕이 됐다."라고 본다. 그는 한류의 성공 요인을 바로 한국이 선두에 선 온라인 게임 등 사이버 문화가 막 생성기에 접어든 동아시아 청소년 디지털 코드와 맞아떨어졌다는 데서 찾은 것이다.

-한승동, 김상배 교수의 한류 희망적 진단, 한겨레, 2007

 

이상 한류를 만든 요인을 열 가지로 나누고 학자들의 논물을 인용 풀어보았다. 한류가 현재를 넘어 미래로 지속적인 추진력을 갖기 위해서 지금과 같이 끊임없는 연구와 고찰이 필요하자.

 

관련 글

비빔밥 정신과 컨버전스(convergence)

웹툰에 빠져드는 우리, OTT 드라마로 보는 웹툰

통계로 보는 한류의 경제적 효과

 

반응형

댓글